친환경 탄성파 전기 센서로 대형설비 사고 위험 예방
상태바
친환경 탄성파 전기 센서로 대형설비 사고 위험 예방
  • 윤우식 기자
  • 승인 2020.11.11 10: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기硏 김인성 박사팀, 관련 센서 기술 국산화 성공
원자력·풍력·수력 설비 등 에너지산업 안전진단 활용
김인성 전기연구원 박사가 '프리앰프 내장 탄성파 전기 센서'를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김인성 전기연구원 박사가 '프리앰프 내장 탄성파 전기 센서'를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전기·에너지 관련 설비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위험을 예측하고 진단하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전기연구원(원장 최규하)은 전기변환소재연구센터 김인성 박사팀이 탄성체로부터 전달되는 미세한 진동(탄성파)을 감지해 각종 설비나 시설물의 열화나 고장 징후를 사전에 진단할 수 있는 ‘프리앰프(Pre-amp) 내장형 전기 센서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탄성파는 대상물질이 변형되거나 끊어질 때 발생하는 일종의 파동이다. 물질의 파괴 혹은 이상 정도가 클수록 더 많은 탄성파가 발생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설비 자체로부터 자연 발생하는 탄성파의 감지를 통해 설비의 열화나 고장 징후를 사전에 모니터링 해 대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 센서다.

연구팀은 작은 탄성파를 발원 지점에서 증폭하는 ‘프리앰프’를 내장해 측정을 방해하는 소음 차단선을 선진국의 제품(미국 PAC사 기준)과 동일한 25dB 수준으로 만들었고 다년간의 연구로 보유한 ‘압전 기술’을 통해 선진국 제품 80dB보다 높은 85~90dB 수준의 측정 감도를 가지는 ‘프리앰프 내장형 탄성파 전기 센서(AE Sensor)’ 국산화에 성공했다. 압전은 결정체가 장력이나 압력 및 변형력을 받아 비틀림이 생기면 결정체 내부에 분극 또는 전압이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다.

연구팀은 또 기존 센서 소재로 사용되던 납을 대체하는 무연소재도 새롭게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친환경 탄성파 전기 센서’를 국내 최초로 선보였다. 내년 7월부터 ‘유해물질 사용제한(RoHS) 유해물질 사용제한 지침에 따라 전기·전자기기 내에 납의 사용이 제한되는 만큼 이번 성과는 기존 제품을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센서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해당 센서 기술은 앞으로 △원자력·화력·풍력·수력 발전소의 각종 설비 및 부품 진단 △대형 변전소와 발전소의 변압기 및 차단기의 이상 진단 △오일 탱크 및 대형 유조선의 구조물 열화 및 변형의 사전 감지 등 에너지 산업의 안전 진단 분야에서 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그린뉴딜 정책으로 주목받는 풍력의 경우 발전기의 축과 베어링, 기어 손상, 오일 오염 등을 미리 측정할 수 있어 안정적인 설비 운영을 가능케 해준다. 수력발전소에도 밸브, 스팀라인, 조인트 파이프라인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장을 사전에 모니터링 해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아울러 △대형 현수교의 주탑 및 로프(rope) 이상 진단 △콘크리트 및 토목 구조물의 구부러짐 및 파괴 관찰 △지각 내에서 전달되는 지진파(P파, S파) 감지 등 대형 건축 및 시설물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데도 탄성파 전기 센서 기술이 활용될 수 있다.

연구 책임자인 김인성 박사는 “이번에 개발한 센서는 국가 안전 진단 부문의 경쟁력 강화 기여는 물론 4차 산업혁명 핵심 산업인 자율주행차, 지능형 공장, 스마트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까지 확대 적용할 수 있는 잠재성 높은 기술”이라며 “현재는 지정된 공진 주파수 대역의 탄성파를 감지하는 센서 단계지만 향후 대역폭을 넓혀 광대역 및 가속도가 포함된 복합형 센서까지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기술의 완성도를 높여 경남 창원에 특화된 ‘강소연구개발특구 사업’과 연계해 센서 소자의 양산화를 추진하고 수요 업체를 발굴해 상용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