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에 분산에너지 확대 선도 모델 구축한다
상태바
제주에 분산에너지 확대 선도 모델 구축한다
  • 윤우식 기자
  • 승인 2022.04.12 23: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업부, ‘제주형 분산에너지 기본계획’ 발표
재생E 출력제어 완화 위해 대규모 ESS 설치
VPP·플러스DR·마을별 마이크로그리드 조성
12일 제주시 구좌읍 CFI에너지 미래관에서 열린 ‘제주형 분산에너지 기본계획 발표회’에 참석한 박기영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앞줄 오른쪽 네 번째)이 관계자들과 함께 황우현 제주에너지공사 사장(앞줄 왼쪽 세 번째)의 안내를 받으며, 가파도 마이크로그리드관 등 신재생에너지 홍보관을 둘러보고 있다.

12일 제주시 구좌읍 CFI에너지 미래관에서 열린 ‘제주형 분산에너지 기본계획 발표회’에 참석한 박기영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앞줄 오른쪽 네 번째)이 관계자들과 함께 황우현 제주에너지공사 사장(앞줄 왼쪽 세 번째)의 안내를 받으며, 가파도 마이크로그리드관 등 신재생에너지 홍보관을 둘러보고 있다.

제주 지역의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해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와 통합발전소(VPP), 지역 특성을 가미한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등이 본격화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제주특별자치도는 12일 제주시 구좌읍 ‘탄소 없는 섬(CFI) 에너지 미래관’에서 이러한 내용을 골자로 하는 ‘제주형 분산에너지 기본계획’을 수립·발표했다.

분산에너지는 중소 규모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 전력을 사용하는 지역의 인근에서 생산·소비하는 에너지를 말한다. 최근 대규모 발전소 및 송전선로 건설 관련 사회적 갈등이 증가하자 에너지 소비 지역 인근에서 생산되는 분산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다.

이에 정부는 2040년 분산에너지 발전량 30% 달성을 목표로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전략’을 마련해 이행 중이며, 이번 기본계획은 이 전략을 제주도의 현실에 맞게 발전·계승한 것이다.

제주도는 지난해 기준 870MW 규모의 태양광·풍력 설비를 구축, 전체 설비 가운데 재생에너지 비중을 39%까지 확대하며 분산에너지 확대에 앞장서고 있다. 하지만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재생에너지에 대한 지역 주민 수용성 저하 등의 문제를 마주하고 있다. 제주도는 2015년 첫 출력제어(3회)를 시작으로 2020년 77회, 2021년 64회가 발생했으며, 올해는 3월말 기준 21회의 출력제어가 이뤄졌다.

제주도는 이번 계획에 따라 분산에너지 친화형 인프라 조성을 위해 대규모 ESS를 구축하고 그린수소(P2G), 열에너지 활용(P2H) 등 섹터커플링 기술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섹터커플링은 재생에너지 전력을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변환해 저장·활용하는 기술을 말한다.

분산에너지 기반의 전력 신산업 육성을 위해 통합발전소(VPP), 플러스 DR 확산 모델을 발굴하고 지역특성을 가미한 마이크로그리드 구축도 추진한다. 또 재생에너지 주민 수용성·인식 개선을 위해서는 추진협의체와 포럼을 운영하는 한편 중장기적으로 도내 전문 에너지연구소 설치를 검토할 방침이다.

산업부는 제주도·관계기관·전문가 등과의 지속적인 협업을 통해 제주형 분산에너지 기본계획의 원활한 이행을 지원한다.

박기영 산업부 차관은 “이번 계획은 중앙 정부가 제시한 정책 방향을 지역의 고민을 담아 계승·발전시켰다”면서 “앞으로도 중앙과 지방, 관련 전문가들의 긴밀한 협업을 토대로 분산에너지의 원활한 확산 체계를 구축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구만섭 제주도지사 권한대행은 이날 분산형 에너지 활성화가 새 정부 국정과제에 반영되고 특별법이 조속히 국회에서 통과될 수 있도록 요청하고 “정부와 함께 고민하며 수립한 추진계획을 이행해 출력제어를 해소하고 신재생에너지와 분산에너지를 확대하는 모델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