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 ‘제3차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 어떤 내용 담겼나
상태바
[해설] ‘제3차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 어떤 내용 담겼나
  • 윤우식 기자
  • 승인 2023.02.14 22: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분산에너지 제어자원화 위한 ‘VPP’ 시장 전국 확대
수요자원 시장 확대하고 스마트 전력계량 시스템 구축
연구개발 지원 강화해 분산에너지 계통 수용성 제고
상호운용성 확보 위해 ‘지능형전력망 인증제도’ 도입

산업부는 14일 심의·확정한 ‘제3차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을 통해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하고 유연한 전력시스템을 구축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시장·제도 유연화를 통해 안정적인 전력수급 환경을 조성하고 실시간 변동성에 대응하는 전력계통 관리 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지능형전력망 확산을 뒷받침할 산업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전력 공급 유연성 강화 = 산업부는 먼저 잉여전력을 열, 수소 등으로 저장하는 섹터커플링 상용화를 위해 2025년까지 290억원을 투입해 기술개발을 완료하고 충전기를 통해 전력망에 연결된 전기차 배터리를 에너지저장장치(ESS)로 활용하는 ‘VGI 제도’를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분산에너지 제어자원화를 위한 통합발전소(VPP) 시장 도입도 추진한다. 올해 말 제주에서 ‘재생에너지 입찰제도’를 시범 운영해 도입 기반을 마련한 뒤 2025년 말 전국적으로 확대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또 ‘분산법’ 제정 등을 통해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고 VPP 활성화 방안을 포함한 분산에너지 종합대책을 연내 수립하기로 했다. 확산 모델 수립 및 신속 도입을 위한 실제 계통 기반 실증사업도 추진한다. 이를 위해 2026년까지 계통유연자원 서비스화 기술 개발에 240억원을 투입한다.

◆스마트한 전력소비 체계 구축 = 소비자 참여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수요자원 시장 확대에도 나선다. 먼저 공공시설·지자체 등을 통해 국민DR 연계 에너지 절약 사업을 확대하고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해 기온 관련 기준 조항 신설, 일일 발령한도 확대, 참여 조건(70kW→200kW) 완화 등 규칙을 개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제주 지역 재생에너지 출력제한을 해소하기 위해 제도개선을 통한 플러스DR 운영 확대도 추진한다. 플러스DR 당일 시장을 도입해 기존 하루 전 시장의 예측 오차를 보완하고 소비자 참여 기회를 확대하는 한편 하루 전 시장의 개설 확대를 위해 플러스DR 발령조건인 기준출력제어량을 지속적으로 완화할 계획이다. 향후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육지계통 잉여전력 발생에 대비해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보급률이 높은 전남 지역 중 한시적으로 과공급이 발생하는 곳을 대상으로 플러스DR 시범 사업도 추진한다.

스마트 전력계량 시스템 구축을 통한 서비스 참여 기반 마련에도 속도를 낸다. 내년까지 공공 중심으로 저압용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전 고객(2250만호) 구축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당초 2020년까지 완료할 예정이었으나 특허 분쟁 등에 따른 사업 중단으로 계획이 변경됐다.

재정 지원을 통해 민간 소유의 주택용 고압 계약 아파트를 대상으로 한 AMI 확산도 병행 추진한다. 또 펌웨어 업그레이드, 보안 강화 등을 통해 AMI 정기검침 성공률을 2020년 96.2%, 지난해 97.4%에서 2025년 98.0%까지 높이고 AMI 데이터 활용 활성화를 위해 플랫폼 개발과 홍보 강화에 나서기로 했다.

아울러 올해 7월까지 제주 지역 주택용 계시별 요금제 시행 결과를 분석한 뒤 AMI 보급률 등을 고려해 전국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전력계통 시스템 디지털화 = 분산에너지 계통수용성 제고를 위한 핵심 연구개발(R&D) 지원도 강화한다. 2026년까지 280억원을 들여 재생에너지 관성 부여를 위한 인버터 기술 개발을 완료하고 직류(DC)-교류(AC) 혼용 배전망 상용화를 위한 하이브리드 배전네트워크기술개발 사업에 2028년까지 1905억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실시간 수급 변동성 대응을 위한 전력시스템 디지털화도 꾀한다. 이를 위해 배전망 운영자 제도 도입 등 배전망 단위 분산전원 관리체계를 마련하고 차세대 배전망 관리시스템(ADMS)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내년까지 전국에 도입할 계획이다.

또 재생에너지 확산에 대비한 차세대 EMS 구축 등 기존 전력시스템을 고도화하는 한편 154kV 변전소 686개 중 53%인 361개를 2027년까지 디지털변전소로 전환하는 작업도 추진한다.

◆마이크로그리드 활성화하고 지능형전력망 산업 생태계 구축 = 유형별 핵심 마이크로그리드 모델 확산을 위해 스마트그린산단 대상 마이크로그리드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고 마을·섬 등 기초지자체 단위 지역별 맞춤형 마이크로그리드 모델 실증에 나선다.

이와 함께 전기사업법과 위험물 안전관리법 개정으로 주유소 내 발전·판매를 허용하고 연료전지 설치도 가능하게 하는 ‘에너지슈퍼스테이션’ 전환을 적극 추진하고 전력 다소비 거점 및 시설 중심으로 유형별 맞춤형 마이크로그리드 모델 실증을 확대하기로 했다. 제주 등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곳을 대상으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우선 지정 및 에너지 프로슈머 실증 활성화도 추진한다.

지능형전력망 산업 생태계 구축도 중점 과제로 선정했다. 연내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지능형전력망 인증제도’를 도입하고 전력데이터 개방 확대, 인력양성, 수출지원 등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한 토대를 마련해 나가기로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