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내 해외 청정수소 도입 위해 민관 ‘머리 맞대’
상태바
10년 내 해외 청정수소 도입 위해 민관 ‘머리 맞대’
  • 윤우식 기자
  • 승인 2020.06.29 22: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업부, 29개 관련 기업·기관과 공급망 확충 MOU

앞으로 철강·화학 등 산업계의 수소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정부가 수소 산업 관련 기업·기관과 손잡고 2030년 이전에 해외 청정수소 도입을 추진한다. 해외의 저가 수소자원을 선점해 수소 산업 생태계를 육성하고 경제적인 수소의 안정적 공급 체계를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지난 23일 서울 소공동 소재 롯데호텔에서 수소 분야에 큰 관심을 가진 30개 기업·기관과 함께 ‘해외 청정수소 공급망 구축을 위한 상호협력에 관한 업무협약(MOU)’를 맺고 ‘그린수소 해외사업단(이하 ‘사업단’)’을 발족했다.

MOU 참여 정부·기업·기관은 산업부와 함께 대우조선해양, 두산퓨얼셀 등 민간기업 16개사, 한전·가스공사 등 공기업 5개사, 에너지기수평가원 등 준정부·연구기관 6개사, 수소융합얼라이언스, 한국선급 등 30곳이다. 앞으로 △세계 수소 경제 산업 선도를 위한 민관 협력 △해외수소 공급망 구축을 위한 기초타당성 조사 및 기술개발·실증·국제협력·공동연구 등에 대한 민관 협력을 강화한다.

이번 MOU를 통해 산업부는 기관 간 초창기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정부 간 적극적인 국제 협력을 통해 사업의 위험성을 줄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해외 청정수소 공급망을 직접 구축하는 민간은 사업 기획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참여해 추진 동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수소 수요 증가…2030년 이후 최대 50% 해외 조달 필요

정부는 지난해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과 표준·R&D·수소차·인프라·충전소·안전 등별 세부 추진계획을 수립해 추진한 결과 글로벌 수소차 판매 1위, 연간 수소충전소 세계 최다 구축, 세계 최대 연료전지 발전시장 조성 등의 성과를 달성했다.

올해 5월까지 국내 수소전기차 보급 대수는 2231대로 지난해 동기 1008대 대비 약 120% 증가 했다. 연료전지 역시 하반기까지 180MW 이상 추가 완공될 예정으로 2022년 목표 1GW를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로 인해 주춤하기는 했지만 올 한 해 수소충전소 누적 100기 운영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MOU는 이러한 성과를 넘어 장기적으로 수소 공급의 양적·질적 확대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데 민관이 의견을 같이하면서 추진됐다.

산업부에 따르면 국내 연간 수송용 수소 수요량은 올해 4000t에서 2030년 약 37만t, 2040년 약 100만t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특히 철강·화학 등 산업계의 수소 활용이 확대될 경우 수소 공급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국내 공급분만으로는 수요를 100% 충당하기 어렵다는 데 있다. 국내 부생수소의 공급 잠재력, 추출수소의 온실가스 배출 문제, 국내 그린수소 생산능력 및 기술적 한계 등을 고려할 때 2030년 이후 국내 수요 중 10~50%의 청정수소를 해외로부터 조달해야 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우리와 유사한 환경의 일본도 호주(HySTRA, 갈탄으로부터 수소 추출 및 액화 운송)와 브루나이(AHEAD, LNG에서 수소 추출 및 LOHC 변환 운송) 등으로부터 해외 수소 도입 프로젝트를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해외서 수소 생산·운반·공급 완결 공급망 구축

산업부는 2030년 이전까지 청정수소 공급망 확충을 위해 MOU를 체결한 기업·기관과 협의를 지속하고 사업단을 통해 저렴한 해외 청정수소를 도입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1단계로 해외 청정수소를 공급할 수 있는 후보군에 대해 약 6개월간 전문 컨설팅 기관을 통한 경제·기술·지정학적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는 등 초기전략 수립에 나선다. 이어 타당성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4~5년에 걸쳐 철저한 단계 평가를 통해 진도 관리와, 투자 유치를 위한 검증을 진행하는 등 실증을 추진하고 마지막 3단계로 민간의 해외 청정수소 생산·공급에 대한 투자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수소 산업 생태계 경쟁력 강화에도 속도를 낸다. 산업부는 내년까지 수소 전문기업을 지정·육성하고 수소 분야 창업과 업종 다각화도 지원할 예정이다. 또 수소 산업 인프라 구축을 위해 지역 특화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지역 수소 산업 혁신 기관과도 연계해 지역 생태계 지원에 나선다. 특히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수소 경제 컨트롤 타워인 ‘수소경제위원회’를 내달 1일 국무총리 주재로 조기 개최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이번 MOU를 계기로 국내 기업·기관들이 해외의 다양한 수소 공급처로부터 수소를 생산·운반·공급하는 완결된 공급망을 구축해 세계 수소 경제를 선도해나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수소 분야의 선도자(First Mover)가 돼 청정수소 생산에 관한 앞선 기술력과 국제 공급망을 확보하고 대한민국 수소 경제의 밝은 미래를 열기 위해 민관이 함께 협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