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 분산형 전원 비중 18.6%로 확대…3.7조원 투자
상태바
2027년 분산형 전원 비중 18.6%로 확대…3.7조원 투자
  • 윤우식 기자
  • 승인 2023.02.14 21: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업부, 14일 ‘제3차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 확정
똑똑하고 유연한 전력체계 구축 위해 5개 과제 추진

정부가 전력소비 증가와 발전소·송전선로 건설 지연에 따른 공급 불안정성을 완화하기 위해 향후 5년간 분산에너지 활성화에 박차를 가한다. 2027년까지 3조 7000억원을 투입, 스마트하고 유연한 전력시스템을 구축해 현재 13.2% 수준인 분산형 전원 비중을 약 19%까지 끌어올린다는 구상이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지난 14일 김상협 위원장 주재로 열린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에서 이러한 내용이 담긴 ‘제3차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2023년~2027년)을 심의·확정했다. 

스마트그리드라고도 불리는 지능형전력망은 ‘발전-송전·배전-판매’ 단계로 이뤄지던 기존 단방향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 이용 효율을 극대화하는 전력망을 말한다. 정부는 ‘지능형전력망의 구축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매 5년마다 지능형전력망 계획을 수립해오고 있다.

글로벌 스마트그리드 시장은 2021년 360억 달러에서 2030년 약 1600억 달러로 연평균 18.2%의 가파를 성장세가 전망된다. 특히 세계적인 탄소중립 정책 추진에 따라 신재생, ESS, 전기차 등 분산자원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통합발전소(VPP), 수요자원거래 등 분산자원 거래 모델이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세계 각국은 분산자원 수용을 위해 분산자원 시장 참여를 허용하고 유연한 전력시스템 구축에 적극 나서고 있다. 미국은 연방에너지규제위원회(FERC)가 분산자원이 도매전력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규정을 승인했고 유럽연합(EU)은 회원국 간 전력거래를 활성화하고 국가 간 전력거래 시장체계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일본은 송·배전사업자의 효율적인 전력 조달을 위해 조정력(한국의 예비력과 비슷한 개념으로 주파수 조정 및 수급조정을 위해 필요한 예비전력)을 거래하는 전국 규모의 수급조정 시장 개설했으며, 중국은 원거리 송·배전 능력 제고와 5G 기술 결합 등 국가 단위의 스마트전력망 구축 정책을 펴고 있다.

산업부는 이 같은 글로벌 추세에 발맞춰 이번 계획에서 전력 공급·소비 유연성을 확보해 2027년 국민DR 고객 2만명, 플러스DR 시장 규모 1GW로 수요 자원시장을 확대하고 분산형 전원 비중 18.6%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전력공급 유연성 강화 △스마트한 전력소비 체계 구축 △전력계통 시스템 디지털화 △마이크로그리드 활성화 △지능형전력망 산업 생태계 구축 등 5개 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5대 전략을 통해 스마트하고 유연한 전력시스템을 구축해갈 것”이라며 “제3차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하기 위해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후속 조치 사항을 이행·점검하는 등 각 과제가 적기에 이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